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수능 정시 각 학교마다 최저 보고 있는데 논술전형 수능최저, 학종 수능최저, 학생부

각 학교마다 최저 보고 있는데 논술전형 수능최저, 학종 수능최저, 학생부 교과 의 수능최저등급이 지원전형에 따라 다르더라고요 1. 고등 자퇴후 수능 보는건 전형이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자퇴후 수능100% 반영으로 간다고 하면 수능 100% 대학이 따로 또 있나요? 수능성적만으로도 모든 대학 갈수있다고 생각했는데 2. 수능에 가 군 나 군 다 군 있던데 각 군마다 어떤 사람들이 지원하는지, 군 마다 특징이 뭔지3. 3합 7이면 국 수 영 탐 중에 국 영 탐 만 골라도 되는거라고 알고 있는데 ( 학교에서 필수 과목 선정 안한거 기준) 그럼 제일 취약한 과목 버리고 나머지에 올인 하면 되는건데 왜 다들 그렇게 안하나요? 불이익이 있나요? 4. 100%정시로 지원할때 대학교에서 검정고시 출신인걸 아나요?5. 자퇴하면 2027 수능, 2028 수능 둘중에 뭐가 더 유리한가요? 2027에는 재수생들도 몰리고 대비를 많이 하니 수능도 어려울것이고 2028은 정시 내신 반영이 40%이긴 한데 아무래도 내신 반영 기준이 올라가니까 학생들이 내신 챙기느라 정시 준비를 많이 못할거고 대입 바뀌고 첫회라 어렵게 안낼거고 입시 관련 열정적으로 대하고 있어 자세한 답변 바랍니다 ㅜㅜ

1. 고등학교 자퇴 후 수능만으로 대학 가는 법

✅ 전형 이름: 정시 수능 100% 전형

검정고시 출신이든 자퇴생이든 정시 전형은 수능 성적만 반영하기 때문에

내신이 없어도 지원 가능합니다.

단, 모든 대학이 수능 100%인 건 아님!

일부 대학은 정시에서도 내신 일부(20~40%) 반영

→ 2028학년도부터는 수도권 중심으로 이런 대학이 많아질 예정

✅ 수능 100% 전형 있는 주요 대학 (2025~2027 기준)

대학 전형 수능 100% 여부

고려대 일반전형 ❌ (정시도 학생부 일부 반영 예정)

연세대 일반전형 ⭕ (2027까지는 수능 100%)

경희대 일반전형 ⭕ (2027까지 수능 100%)

서울시립대 일반전형 ⚠️ 일부 학과는 학생부 반영

인하대 일반전형 ⭕ 수능 100% 유지 가능성 높음

핵심 전략: 자퇴할 경우, 2027년까지 수능 100% 비율이 높은 대학을 목표로 하는 게 유리함.

2028년부터는 정시에도 내신 일부 반영 확대됨 (아래 5번 참고)

---

2. 가/나/다 군의 의미 & 특징

정시는 군별로 대학을 가, 나, 다 군으로 나눠 각 군당 1개 대학 지원 가능 (총 3개 지원 가능)

군 특징 주로 지원하는 대학

가군 최상위권 많음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나군 중상위권 많음 중앙대, 경희대, 동국대 등

다군 기회군 성격 가천대, 단국대(죽전), 명지대, 국민대 등

전략적으로 '다군'을 보험용으로 쓰는 경우 많음.

예)

가군: 연세대

나군: 경희대

다군: 가천대 (최악의 경우도 고려해 안정 지원)

---

3. 수능 최저 ‘3합 7’ = 특정 과목만 고르면 될까?

✔️ 네, 맞습니다.

“3합 7”은 국/수/영/탐 중 상위 3과목의 등급 합이 7 이내면 만족.

고교에서 필수 과목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취약한 과목은 버리고 나머지 3개에 올인 가능.

그런데 사람들이 다 그렇게 안 하는 이유:

1. 대학마다 최저 적용 방식이 다름

예: 고려대는 ‘필수 응시 과목’ 지정 (수학 선택과목, 탐구 2과목 필수 등)

일부 대학은 “탐구는 2과목 평균 등급 반영” → 1개만 잘 보면 불리

2. 정시 대비도 고려해야 함

정시는 전체 과목 성적이 중요 → 특정 과목만 파다 보면 정시에서 불리

3. 모의고사 응시 과목 제한

학교에서 모의고사 볼 때 과목 제한되어 불리익 생길 수 있음

---

4. ️ 검정고시 출신이라는 걸 대학에서 알까?

✔️ 네, 대학은 ‘정시 원서 접수 시’ 출신 유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 참고하세요.

항목 영향력 여부

검정고시 여부가 정시 합격 여부에 영향? ❌ 영향 없음

검정고시 점수가 대학에 반영되나요? ❌ 정시에서는 수능 성적만 봅니다

합격 후 불이익 있나요? ❌ 없음 (단, 일부 장학금은 제한 가능)

단, 학종이나 논술전형 지원 시는 검정고시로 ‘학업계획’ 증명이 어려울 수 있음

→ 정시 위주 전략 유지가 더 좋음

---

5. 2027 vs 2028 수능, 자퇴 후 언제 응시하는 게 더 유리할까?

항목 2027 수능 2028 수능

출제 경향 현행 유지 (킬러 문항 삭제 등 안정적) 새 교육과정 적용 (첫해라 불확실)

경쟁자 재수생 폭증 예상 신입생 중심, 내신과 수능 병행 부담 큼

정시 반영 방식 대부분 수능 100% 내신 40% 반영 대학 증가

유리 조건 수능에만 집중할 수 있음 내신 없는 검정고시생에 불리할 수도 있음

당신에게 유리한 해 = 2027 수능

이유:

검정고시생이라 내신이 없고

2027은 수능 100% 전형이 주력이고

재수생 경쟁이 있다고 해도, 자기 전략이 명확하다면 충분히 대응 가능

---

결론 요약

질문 요점

고등 자퇴 후 전형 정시 수능 100%로 가능 (검정고시만 있어도 OK)

수능 100% 대학 많음 (단, 2028부터 내신 반영 대학 늘어남)

가/나/다 군 각 군당 1개씩 지원 가능. 다군은 전략적 보험

3합 7 전략 일부 과목 버릴 수 있음, 단 대학별 조건 체크 필수

정시에서 검정고시 출신 여부 대학은 알지만 영향 없음

유리한 해 2027 수능이 더 유리. 수능 100% 유지, 경쟁 예측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