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목디스크로 MRI를 찍어야 한다는데 맞는것인가요? 집근처 병원에서 목디스크있다고해서 엑스레이를 찍었었는데 목이 계속 아파서 대학병원 갔는데

집근처 병원에서 목디스크있다고해서 엑스레이를 찍었었는데 목이 계속 아파서 대학병원 갔는데 엑스레이를 찍고 MRI를 찍어야 한다고 해서 꼭 찍어야 하는게 맞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목디스크로 인해 불편함을 겪고 계시는군요. 엑스레이 촬영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어 대학병원에서 MRI를 권유받으셨다면, MRI 촬영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영상 검사별 특징 및 목디스크 진단

척추 질환 진단에 사용되는 주요 영상 검사에는 엑스레이(X-ray), CT(컴퓨터 단층 촬영), MRI(자기공명영상)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진단 목적이 다릅니다.

검사 종류

주요 진단 부위

특징

목디스크 진단 시 역할

엑스레이

뼈, 관절

뼈의 구조나 배열, 골절, 퇴행성 변화 등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목뼈의 전체적인 정렬, 간격, 골극 형성 등 뼈의 이상을 확인하지만, 디스크나 신경 손상은 직접적으로 볼 수 없습니다.

CT

뼈, 일부 연조직

엑스레이보다 정밀하게 뼈의 단면을 볼 수 있으며, 골절이나 종양 등 뼈 관련 질환 진단에 더 효과적입니다.

스크의 석회화나 뼈의 변형으로 인한 신경 압박 여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디스크 자체의 상태나 신경 손상 정도를 명확히 보기는 어렵습니다.

MRI

연조직(디스크, 신경, 인대, 근육 등)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연조직을 고해상도로 촬영하며, 디스크, 신경, 인대, 근육 등 연부 조직의 이상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의 탈출 정도, 신경 압박 여부, 척수 손상 유무 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목디스크 진단의 가장 정확한 검사로 꼽힙니다.

※ MRI 촬영이 필요한 이유

엑스레이는 뼈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목디스크의 핵심인 디스크(연골)나 신경의 손상 여부는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못합니다. 목디스크는 디스크가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 저림, 마비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디스크와 신경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학병원에서 MRI를 권유한 것은 엑스레이만으로는 현재 겪고 계신 통증의 원인(디스크의 탈출 정도, 신경 압박 유무 등)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MRI는 디스크의 상태와 신경 압박 정도를 가장 정확하게 보여주므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따라서 현재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기 위해 MRI 촬영을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