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행정학과 생기부 내용 중복 돼도 괜찮은지 과제 방향 행정학과 진학하고자 하는 고2 입니다 학교에서 소인수 수업 이라고 주말마다

행정학과 진학하고자 하는 고2 입니다 학교에서 소인수 수업 이라고 주말마다 학교에 나와서 철학,교육학 등을 배우는데요 저는 작년에 예체능 계열, 미술 쪽이라 미술 철학으로 한번 해보라는 선생님 권유에 작년에 철학을 들었습니다 고2때는 진로가 바뀌어서 그에 맞는 생기부를 쓰고자 하였고 저는 공동교육과정 사회철학을 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실수로 소인수 수업 철학을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생기부내용은 중복으로 들어가면 좋지않을것 같은데 괜찮은가요? 올해 과제도 작년 과제랑 똑같아서 문제입니다ps, 저는 작년에 재출한 과제를 이번에 더 심화적으로 쓰거나 미술철학을 쓴 바탕을 사회랑 또 엮어서 써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이번 과제는 나는누구인가 자유란 무엇인가 행복이란 무엇인가 선한 거짓말은 필요한가 버킷리스트 입니다 (과제 방향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만 어려우시면 첫번째 답변만 주셔도 됩니다)

고2 때 진로가 바뀌어 행정학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작년과 올해 모두 ‘철학’ 관련 수업을 들은 것이 생기부 상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작년에 쓴 과제와 너무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거나, 활동의 성격이 동일해 보이면 “진로 연계성”이 약하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내용이나 관점을 전혀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기부 중복 여부에 대한 핵심 조언

  • 수업명은 같더라도 활동의 방향성과 반영 내용이 다르면 문제되지 않습니다.

  • 작년엔 ‘미술철학’을 중심으로 했다면, 올해는 ‘사회철학’과 진로(행정학) 관련 주제로 확실히 연결해 주세요.

  • 철학은 논리적 사고와 가치 판단, 정책 기반의 핵심 학문 중 하나라서 행정학과와 연결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제 주제별 ‘행정학과 연계형’ 아이디어

다음은 행정학과 진학을 염두에 두고 각 철학 주제를 사회 문제 및 공공 가치와 연결할 수 있는 방향입니다:

주제

방향성 예시 (행정학 연결 중심)

나는 누구인가

"공공을 위한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의 나" → 공동체 속의 자아, 사회계약론과 연결

자유란 무엇인가

"행정의 규제와 자유의 균형" → 공공 질서와 개인의 자유 사이의 갈등 사례

행복이란 무엇인가

"국가의 정책은 국민의 행복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 행복지수, 복지 정책, 기본소득 논쟁 등

선한 거짓말은 필요한가

"행정에서의 정보공개 vs 보호 – 투명성과 윤리 사이의 딜레마"

버킷리스트

"공직자로서 이루고 싶은 사회적 목표와 가치" → 내가 바꾸고 싶은 사회 문제 포함 가능

✍️ 작성 팁

  • 과거의 미술철학 과제와 소재가 겹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주제를 단순히 철학적으로만 쓰지 말고, 사회 문제, 공공정책, 시민의 삶 등 행정학적 시각으로 확장해 주세요.

  • 예: "자유란 무엇인가" → 단순 추상적 자유 개념보단, 코로나 시기의 방역정책과 개인 자유의 충돌 사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