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김프매매 이요! 헷갈리는 개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총10억 김프매매 한다치면10억 해외거래소 다 넣고 1배숏

헷갈리는 개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총10억 김프매매 한다치면10억 해외거래소 다 넣고 1배숏 치다가 귀국 하는거랑5억 한국거래소 코인매수 후 정리, 5억 해외거래소 2배숏 치다가 정리하고 귀국하는거랑김프,환율의 변동에 의한 수익이같은것인지, 다른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김프 매매, 즉 김치프리미엄 차익거래의 본질적 구조를 이해하려면, 현물 매수와 선물 숏 포지션의 목적을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질문하신 두 가지 방법은 표면적으로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 수익구조와 리스크는 다릅니다.

첫 번째 방법은 10억 원을 전액 해외거래소로 이체한 후 1배 숏 포지션을 잡는 것입니다.

이 경우, 김프(한국 프리미엄)가 사라지면 국내에서 현물을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할 수 없고, 해외 숏 포지션에서 가격 하락분 만큼의 수익만 실현됩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김프 변동으로 인한 직접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즉, 1배 숏은 헤지의 의미일 뿐 김프 차익거래와는 다른 구조로, 환율 변화나 김프 축소로 인한 직접적인 수익 실현 구조가 없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5억 원으로 한국거래소에서 현물을 매수하고, 나머지 5억 원으로 해외거래소에서 2배 숏을 잡는 것입니다.

이는 기본적인 김프 차익거래 구조에 가깝습니다.

국내에서 비싸게 매수한 코인을 이후 프리미엄이 축소되었을 때 해외 거래소에서 숏 청산과 함께 국내 매도 또는 해외 매도 환전 후 국내 송금으로 차익을 실현합니다.

2배 레버리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동일한 10억 원 자금으로도 김프 변동폭에 따른 수익을 두 배 수준으로 실현 가능하지만, 그만큼 해외 거래소 숏 포지션의 청산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정리하자면,

  1. 첫 번째 방법(10억 전액 해외 숏 1배)

  2. – 김프 축소에 따른 직접 수익 없음

  3. – 단순 헤지 포지션이며, 가격 하락시 이익, 상승시 손실

  4. – 환율 차익에도 영향 거의 없음

  5. 두 번째 방법(5억 국내 현물 매수 + 5억 해외 2배 숏)

  6. – 김프 축소 시 국내 매도 + 해외 숏 청산으로 수익 실현

  7. – 구조적으로 김프 매매의 기본 형태

  8. – 레버리지 리스크 존재

결론적으로, 두 방법은 수익구조가 전혀 다릅니다.

김프 매매의 본질은 국내 현물 매수와 해외 숏 포지션의 가격차(프리미엄)를 활용해 동시에 롱과 숏을 운영하여 시세차익을 실현하는 것이므로, 첫 번째 방법은 김프 매매가 아니라고 보셔야 합니다.

실전 적용 시에는 거래소간 송금 속도, 입출금 수수료, 레버리지 청산 리스크, 환전 비용까지 모두 고려해 안전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