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보통 각국의 정상(정치가)들이 각국의 최고 부자들(기업가)들보다 더 영향력이 있고 더 권한이 쌔던데 이유가

각국의 최고 부자들(기업가)들보다 더 영향력이 있고 더 권한이 쌔던데 이유가 있을까요?개인재력이야 기업가들이 정치가들을 압도하는 수준인데...군부시대는 대놓고 박정희 대통령과 전두환 대통령에게 대들지 못하고 고개조아리던게 대기업 회장들이였는데...자본주의 사회인데 자본이 많은 사람이 갑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드는데권력이란 자본에서 나오는거 아닌건가요?미국으로 치면 지금 일론머스크가 550조 자산가고 트럼프가 7조 자산가인데트럼프도 괴물같은 부자지만(재력 수준이) 일론머스크는 그를 압도하는데 일론머스크가 트럼프에게 한번 개기지 못하고 나와 창당할 정도니...;;;미국으로 치면세르게이브린 마커저커버그 제프베조스 등보다 미대통령이 더 막강하고일본으로 치면야나이타다시 손마사요시보다 일본 서열1위 정치가가 더 막강하고왜 그런걸까요? 궁금하네요 잡다한 내용이긴한데

안녕하세요!

질문자님께서 하신 “왜 재벌보다 정치인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한 질문은

정말 깊이 있는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에 쉽게 풀어 설명드릴게요.

핵심 요약:

정치권력(공권력)은 자본보다 우선하는 '강제력'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 즉, 법을 만들고 집행하는 힘을 가진 자가 궁극적 '갑(甲)'입니다.

왜 정치인이 기업가보다 더 강력할까요?

  1. 정치권력 = 공권력(국가가 인정한 힘)

  • 대통령, 총리 등은 헌법에 따라 법을 만들고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 군대, 경찰, 세금, 법원 등 모든 국가기관이 정치권력 하에 있습니다.

  • 기업가는 돈은 많지만, 국가기관을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1. 법 위에 자본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 아무리 돈이 많아도, 법 앞에서는 평등해야 하는 게 민주주의 원칙입니다.

  • 기업가가 법을 어기면 체포될 수 있고,

  • 국가가 마음먹으면 기업 해체도 가능(예: 반독점법, 세무조사 등)

  1. 정치는 공공영역, 자본은 민간영역

  • 기업은 민간 부문이라 국민의 표나 헌법 권한이 없습니다.

  • 반면 정치인은 국민의 지지를 받아 공공 영역을 대표하게 됩니다.

  • 대통령은 '국가대표 선수', 기업가는 '민간 클럽 오너'에 가깝습니다.

일론 머스크 vs 미국 대통령 예시로 본다면?

  • 일론 머스크는 천문학적 재산을 가진 CEO지만,

  • 미국 대통령은 핵버튼, 법률 서명권, 세금 결정권, 군 지휘권 등을 가집니다.

  • 머스크가 법을 어기면 미국 정부는 조사, 과징금, 감옥까지도 명령할 수 있죠.

  • 결국, 정치권력이 허락한 범위 내에서만 자본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결론

✔ 아무리 자본주의 사회라도, 자본 위에 ‘공권력’이라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 정치인은 국가 시스템 자체를 움직일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기업인은 그 시스템 안에서 활동하는 플레이어입니다.

✔ 따라서, 정상(정치인)은 부자보다 더 막강한 ‘제도적 권위’를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