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부에 기록될 내용은 탐구보고서가 독후감보다 더 유리합니다.
독후감은 감상 중심의 서술이기 때문에 학문적 탐구나 진로 연계성이 약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탐구보고서는 주제 설정, 자료 조사, 분석, 결론 도출의 과정을 통해 질문자님의 사고력과 진로 의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사라는 진로와 윤리와 사상 과목을 연결해 탐구했다면, 교과 연계성과 진로 적합성을 동시에 드러낼 수 있어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윤리와 사상에서 물리치료사와 연결할 수 있는 주제로는 ‘의료윤리’가 가장 적절합니다.
칸트의 의무론을 기반으로 환자의 존엄성과 치료자의 책임을 탐구하거나,
공리주의 관점에서 치료의 효율성과 환자의 복지를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생명윤리’, ‘환자의 자율권’, ‘의료인의 직업윤리’ 등도 물리치료사의 역할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주제입니다.
이러한 철학적 관점을 통해 물리치료사의 윤리적 판단과 행동 기준을 탐구하면,
진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학문적 성찰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습니다.
탐구보고서 형식으로 의료윤리와 철학적 사상을 연결한 주제를 설정하고,
질문자님의 진로와 연계해 논리적으로 전개한다면 생기부에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