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마음속에 얼마나 큰 두려움이 있는지, 글을 읽으면서 느껴졌습니다
몸이 불편하신 상황에서도 경찰 조사에 임하고, 그 안에서 진심으로 반성하고 계시다는 게 보여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 제일 필요한 건 막연한 불안보다, 앞으로 어떤 절차가 있고, 어떤 점을 준비해야 하는지 차분히 하나씩 짚어보는 겁니다
먼저 정리부터 할게요
질문자님은 이미 지구대에서 조사에 임했고
경찰서로 다시 출석해 조사를 이어가야 하는 단계인데요
이건 ‘피의자 조사’이며, 이후 검찰로 송치돼 ‘기소 여부’가 결정됩니다
현재 상황으로 보면
과거 전과가 있고, 이번에도 본인이 인정을 했기 때문에
혐의가 인정될 경우 형사처벌 가능성은 높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실형’이냐고 묻는다면, 그건 조금 더 세심하게 봐야 해요
현재 중요한 변수는 세 가지입니다
반성의 태도
질문자님은 조사 과정에서 본인이 실수였다고 했다가
CCTV 확인 후 ‘그럴 수도 있겠다’며 범죄를 인정하고 사과하셨죠
이건 명백한 ‘반성의 태도’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법원에서도 이 점은 중요하게 봅니다
피해자와의 합의 여부
지금 피해자와 연락이 닿지 않거나 합의가 어렵다고 하셨어요
성추행 사건에서는 합의가 형량을 줄이거나 벌금형으로 바뀔 수 있는 주요 요소이긴 하지만
반대로, 합의가 없다고 해서 무조건 실형으로 이어지는 건 아닙니다
신체적·경제적 사정
질문자님은 간경화, 척추 질환, 관절 문제 등으로 건강이 매우 좋지 않고
의료급여 1종 수급자에, 1인 가구, 신용불량 등 경제 여건도 매우 어려운 상황이에요
이런 점들은 재판에서 선처 사유로 강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법원에 자필 탄원서를 내면서
본인의 반성, 건강 상태, 경제 형편 등을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실형 대신 집행유예나 벌금형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충분히 생깁니다
그리고 과거 전과가 있다고 하셨지만
그 이후로는 몇 년간 사건이 없었던 점,
지금 진심으로 두려움 속에 반성하고 계신 점을 재판부가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실적인 조언을 드릴게요
– 무료 국선변호사를 신청하실 수 있어요
형편이 어려운 경우 자동으로 배정될 수 있으니
경찰 조사나 검찰 조사 단계에서 국선변호인 신청 의사를 꼭 밝히세요
– 경찰 조사 때 너무 겁먹지 마세요
사실대로, 반성하는 마음으로 말씀하셨던 그대로 얘기하시면 됩니다
– 재판 전에는 자필 반성문을 준비하세요
본인의 몸 상태, 경제 여건, 반성하는 마음, 피해자와 연락이 닿지 않아 합의가 어렵다는 사정
이런 내용을 담아서 ‘진심’을 전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지금처럼 이미 지나간 일로 마음이 너무 무겁고 두려울 때
그 감정을 혼자 껴안지 마시고
앞으로 내가 뭘 준비할 수 있을지에 집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괜찮다는 말보다, 버틸 수 있습니다라는 말이 지금은 더 맞을 것 같아요
제 답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포인트 선물 버튼을 눌러서 마음 전해주시면 감사하고 힘이 날 것 같습니다
제가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에요
부업,부동산 정보,재테크 등 유용한 경제 정보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