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근로소득 vs 사업소득 결혼 6년차 아직 자녀 없는 남편입니다.현재 근로소득으로 연봉 4천 초반대이고이번달부타

결혼 6년차 아직 자녀 없는 남편입니다.현재 근로소득으로 연봉 4천 초반대이고이번달부타 사업소득으로 월 5~12백대 사이로 벌고 있습니다.회사를 그만두고 사업에 전념하고 싶은데 배우자가 회사를 다니며 자격증 3개정도 취득하고 나서 그만두라고 합니다 현실적으로 회사릉 그만두도 사업에 전념하면서 자격증 공부를 하는개 나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실가요?회사를 그만두더라도 바로 구만두는 것이 아니라 2~3개월 정도 보고 그만두려 합니다.사업소득은 리스크가 조금 있긴하지만 시간 투자 대비 소득이 나오며, 안정성는 확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투자 비용은 별도로 없습니다.

말씀하신 상황을 보면, 근로소득 안정성 vs 사업소득의 성장성 및 시간 자율성 사이에서 중요한 전환점에 계신 것 같습니다. 다음 기준을 중심으로 판단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 현재 사업소득의 안정성과 재현 가능성

월 500~1,200만 원은 상당히 매력적인 수준입니다.

하지만 **편차가 큰 구조(변동성이 큼)**이고,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한지가 중요합니다.

이미 일정 기간 동안 이 정도 수익이 반복되었고, 고객 기반이나 수익 구조가 반복 가능하다면 사업 전념도 타당해 보입니다.

2. 배우자의 우려와 현실

배우자의 입장에서는 가정의 안정성이 가장 큰 기준입니다.

자녀 계획이나 주택담보대출, 노후준비 등이 걸려있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가 자격증을 취득하고 근속을 유지하는 동안 가계의 사회보험 유지 및 소득 안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는 좋습니다.

3. 자격증 취득 병행 vs 사업 전념

사업소득이 이미 생산성이 매우 높고 시간 효율도 뛰어나다면, 병행할 수 있는 정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격증이 세무사, 회계사, 노무사, 감정평가사 등처럼 장기 학습이 필요한 경우는 병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사업 전념 + 공부 집중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4. 현명한 퇴사 전략

지금처럼 2~3개월 유예기간을 두고 관찰하는 방식은 매우 좋습니다.

이 기간 동안 다음을 검토해보세요:

실제로 평균 월수익이 얼마인지

고정 고객, 계약 유지율은 어떤지

소득 증빙(세무적으로도) 가능 여부

건강보험/국민연금 전환 시 부담 정도

결론 및 조언

만약 지금의 사업소득이 최소 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시간 대비 효율도 뛰어나며, 투자 비용 없이 계속 유지 가능하다면, 퇴사 후 사업 전념 + 자격증 공부도 충분히 현명한 선택입니다.

단, 다음 사항도 함께 고려해보세요:

배우자와 퇴사 이후 재무계획 및 보험, 세금 계획을 함께 세우기

퇴사 직후 바로 4대 보험 자격 상실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전환 등에 따른 비용 변화 감안

사업소득 증빙(종합소득세 신고 등)도 미리 대비하기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