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범죄심리사2급 자격증 자격증을 따고 싶은데 제가 자격요건이 안되어서 민간자격증인 2급을 딸까 하는

자격증을 따고 싶은데 제가 자격요건이 안되어서 민간자격증인 2급을 딸까 하는 중입니다. 근데 교육가능한 곳이 어디인지도 온라인으로도 가능한지도 궁금한데 인터넷 찾아도 잘 모르겠어요. 지금 다니는 학교는 소방관련 학과라서 자격 요건이 안되는 거예요. 프로파일쪽으로도 생각이 있다보니 이것저것 알아보게 되는거 같아요. 없는것보단 있는게 나을거 같단생각에... 혹시 학원처나 이런거 세세하게 알고 계시는분 계실까요

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과 관련하여 법률적으로 어떻게 활용하거나, 행정적 쟁점이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 1.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의 법적 효력 및 활용 현황

①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은 현재까지 관련 법률에서 일정한 법적 자격이나 국가자격으로 인정된 자격이 아니며 민간자격증에 해당합니다. 다만, 특정 직군(예: 상담직, 청소년 지도, 교정시설 내 심리상담 등) 채용 과정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법률상 필수 자격이 요구되는 직종(예: 임상심리사, 정신건강전문요원 등)에는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 단독만으로 취업이나 업무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꼭 유념해야 합니다.

③ 법원이나 수사기관 등에서는 분쟁, 사건, 상담, 감정서 제출 등에서 자격의 법적 효력을 묻는 경우 공적 자격(국가자격·면허 등)으로 인정을 하고 있지 않으니 업무상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 2.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 취득 시 관련 행정 절차 및 증명 활용

① 경찰청·검찰청·법원 등 공공기관에 심리상담, 범죄예방교육 위탁사업, 관련 입찰 참여 등을 원할 경우 각 기관별 자격 요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의 인정 여부를 사전에 공식적으로 질의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② 방과 후 학교, 공공단체, 민간회사 등의 채용 이력서, 자기소개서, 경력 증명 등에 부속 증빙자료로 제출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등록 민간자격증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자격증 사용 시 공문서 또는 사문서 위조, 변조, 허위 기재 우려가 없도록 발급기관과 등록번호, 발급일 등 객관적 사항을 모두 명시해야 법적 분쟁이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3. 범죄심리사 자격증 관련 서류 준비 및 증거자료 확보

① 본 자격증이 필요한 상황(예: 면접, 취업지원, 공공기관 제출 등)에서는 원본 또는 원본대조필 사본, 자격증명 확인서류를 준비해야 하며 자격증명서 상의 발급기관의 정식 등록 여부민간자격등록번호, 자격관리기관, 발급일 등을 정확히 확인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② 법적 분쟁이 우려되거나 자격 진위를 다투어야 할 경우 민간자격 정보 서비스(www.pqi.or.kr)에서 공식 자격 등록 사실확인서를 발급받아 증빙자료로 확보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분

활용 가능성

주요 필요서류

공공기관 입찰

기관별 직접 확인 필요

질의회신, 자격증명서

민간기업 취업

참고자료 가능

자격증, 이력서 기재

법적 분쟁 대응

국가자격 아닌 점 유념

자격 등록확인서

교육·상담 현장

보조 자격 가능

민간자격증 원본

심리감정 등 사건

효력 불인정 가능성

공문서 아님 명시

관련 자격 진위 확인

정식 등록기관 확인

pqi.or.kr 출력 자료

✔️ 4. 현실적인 결론 및 향후 대처 방법

①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은 민간자격이며 공인자격으로서 강제적 효력은 없습니다. 하지만 각종 기관 사업 참여, 취업 참고 등 실무에서 추가적인 역량 증빙 자료로 활용 가능합니다.

② 보다 법적 효력이 강한 분야로 진로 확대를 원하신다면 국가공인 심리상담사, 임상심리사 등 국가자격 취득을 병행하는 게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③ 자격증 관련 표기·제출 시 허위·과장 용어 사용 등은 법적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정확명칭과 기관 정보 표기만 활용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 5. 핵심 요약 정리

① 범죄심리사 2급 자격증은 민간자격이며 법적 강제 효력은 없습니다.

② 실무참고자료, 경력 부속 증거, 일부 사업 참여 등 보조역할로 활용 가능합니다.

③ 제출서류나 이력서 기재시에는 정확한 자격명·등록정보 표기가 필수입니다.

마무리하며...

질문자님께서 노력해 취득하신 자격증이 상황에 따라 빛을 발하기도 하며 또 동기부여가 되기도 할 것입니다. 늘 질문자님의 길이 옳은 방향으로 열릴 수 있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