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2 학습법 고2 학생입니다원래는 공부에 흥미가 없다가 고2가 되고 나서야 공부를 좀

고2 학생입니다원래는 공부에 흥미가 없다가 고2가 되고 나서야 공부를 좀 해야겠다고 생각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남들과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을정도로 열심히 하고 독서실에서도 계속해서 공부하는데도 내신성적은 4점에서 5점대, 모의고사는 3등급에서 4등급 밖에 안나와요.(1학년 때부터 그래프 보면 상승 곡선이긴 한데 그래도 너무 낮아요) 부모님이 보시기에도 이 정도하면 3등급 안으로는 들어갈 법한데 왜 성적이 안나오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하십니다.수업시간에 대답도 잘하고 공부한 내용도 친구들에게 설명해줄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하는데 시험만 치면 망할까봐 긴장되고 모르는 게 나오면 멘탈이 바로 깨져서 다음 문제도 잘 못 풀기도 해요.이제 진짜 곧 있으면 고3인데 이대로 가면 부모님 실망시켜드릴까봐 걱정됩니다.

현재 상황 분석

질문자님은 고2부터 공부에 흥미를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고 있지만, 성적이 기대만큼 오르지 않아 답답함을 느끼고 계시네요. 수업 시간에 대답도 잘하고 친구들에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하고 있지만, 시험에서 긴장하거나 모르는 문제가 나오면 멘탈이 흔들려 실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것이 큰 원인 중 하나로 보입니다. 또, 늦게 공부를 시작하면서 이전 학년의 기초가 부족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고등학교 학습은 중학교·1학년 때의 기초 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약하면 고2 이후 아무리 노력해도 체감 상승이 더딜 수 있습니다.

성적이 안 오르는 주요 원인

첫째, ‘안다’와 ‘풀 수 있다’의 차이가 있습니다.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고 해서 시험 문제를 다 맞힐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세부 개념이나 용어가 완벽히 암기되지 않으면 응용 문제에서 막히게 됩니다.

둘째, 암기·반복 학습 부족입니다. 특히 용어나 개념이 많은 과목은 여러 번 써보고 읽으며 외워야 오래 기억됩니다.

셋째, 실전 경험 부족입니다. 실제 시험처럼 시간 제한과 긴장 속에서 문제를 푸는 연습이 적으면, 모르는 문제를 만났을 때 당황해 연속 실수를 하게 됩니다.

해결 전략

  1. 기초와 약점 보완

  2. 기초 개념은 교재 문장 하나까지 빠짐없이 외우는 ‘필사 학습’이 효과적입니다. 모르는 부분은 바로 찾아보고,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원인을 기록해두세요. 잘하는 과목보다 못하는 과목에 시간을 더 쓰는 것이 성적 향상에 유리합니다.

  3. 효율적인 공부 습관

  4. 하루에 모든 과목을 조금씩이라도 공부하는 ‘전과목 매일 학습’을 추천합니다. 시험 범위는 최소 5회 이상 반복하며, 공부 계획은 ‘시간 단위’로 세워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5. 실전 감각 키우기

  6. 고2 겨울방학부터는 수능형 문제를 풀며 실전 훈련을 시작하세요. 처음엔 시간 제한 없이, 그다음에는 실제 시험 시간에 맞춰 연습하세요. 어려운 문제는 과감히 넘어가고, 맞출 수 있는 문제부터 정확히 풀어야 합니다.

  7. 멘탈 관리

  8. 시험 중 모르는 문제는 당연히 나올 수 있습니다. 평소에 일부러 어려운 문제를 풀어보며 ‘틀려도 괜찮다’는 경험을 쌓으면, 시험장에서 긴장이 덜합니다.

마무리

질문자님이 지금처럼 성실히 공부하고 있다면, 그 노력은 반드시 쌓여서 결과로 나타납니다. 성적이 바로 오르지 않는다고 조급해하지 말고, 기초 다지기와 실전 훈련을 병행한다면 고3 때 충분히 더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