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질문하신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서 해외 거주자·재외국민의 국내 세금 면제 관점에서 답변드릴게요.
1️⃣ 유튜브 수입의 국내 원천 여부
원천지 기준: 국내 세법에서는 소득 발생 장소를 기준으로 과세합니다.
유튜브 수익(광고 수익, 구독 수익 등)의 경우:
해외 계정, 해외 거주, 국내 서버 사용 안 함 → 일반적으로 국내 원천 소득이 아님.
국내에 주소나 사업장, 은행 계좌가 없고, 국내에서 직접 수익 활동(촬영·편집·업로드 등)을 하지 않으면 비거주자로서 국내 원천 소득이 아님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약: 해외에서 발생하고 해외 계좌로 수익을 받으면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이 아니므로 과세 대상 아님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재외국민 등록과 비거주자 분류
재외국민 등록: 외교부에 “재외국민 등록” 후, 국내 주민등록과 별도로 관리됩니다.
비거주자 요건: 국내 세법상 ‘1년 중 183일 미만 거주’ + 국내 거주 목적이 없으면 비거주자 인정 가능.
비거주자 특징:
국내 소득에 대해서만 과세
국내 재산이나 국내 원천 소득이 없으면 세금 납부 의무 없음
해외에서 발생한 유튜브 수익은 비거주자 과세 대상이 아님
요약: 국내 재산·소득이 없고, 1년 중 국내 체류가 1개월 미만이면 재외국민 등록 후 비거주자로 분류되면 국내 세금 거의 없음.
3️⃣ 세금 면제(비거주자 신고) 방법
재외국민 등록
외교부 홈페이지 → 가까운 재외공관 방문
주민등록을 해외로 이전(재외국민 등록)
비거주자 신고
국세청 홈택스 → ‘비거주자 종합소득 신고’
해외 체류 증빙 자료(체류지 주소, 여권 출입국 기록 등) 제출
국내 소득 없음 → 신고 후 과세 없음
주의 사항
국내 소득 발생 시 비거주자라도 국내 소득에 대해 과세됨
은행, 유튜브 등 해외 계좌 기록은 유지
재외국민 등록만으로 자동 면세가 되지는 않으므로 국세청 신고 필수
결론
질문 | 답변 |
1. 유튜브 수입은 국내 발생 소득인가? | 해외에서 발생·해외 계좌로 지급되면 국내 원천 소득 아님 가능성 높음 |
2. 재외국민 등록 후 세금 납부 안 해도 되나? | 국내 재산·소득 없고, 비거주자로 분류되면 과세 대상 아님 |
3. 세금 면제 신청 방법 | 재외국민 등록 → 국세청 비거주자 신고 → 국내 소득 없으면 과세 없음 |
☎ 함께하면 좋은 글 사이트 방문
★ https://blog.naver.com/gangwongyu13
★ https://kangwon123.tistory.com/
★ https://gangwongyu51.blogsp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