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군 병력이 적었던 이유: 조선의 군사적 위협은 주로 북방의 육로를 통한 침입이었기 때문에, 육군 중심의 방어 체제가 구축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수군은 함선 건조, 유지, 전문 인력 등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했기에 육군에 비해 규모가 작았습니다.
* 이순신 수군의 영향력이 컸던 이유: 이순신 수군은 한산도 대첩 등 해전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일본군의 해상 보급로를 완전히 차단했습니다. 이는 일본 육군이 더 이상 북진하지 못하고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지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고, 결국 전쟁의 판도를 바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