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관련해서 이해하신 내용은 대체로 맞지만, 몇 가지 세부 조건과 오해하기 쉬운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
✅ 보증보험 기관별 정리 (HUG / HF / SGI)
기관 | 임대인 가입 가능 여부 | 보증한도 기준 | 특징 |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 가능 | 기준시가 또는 공동주택가격의 120% 이내, 감정가 100% 이내 | 가장 보편적, 정책 대상자 할인 있음 |
HF (한국주택금융공사) | 불가 (임차인만 가능) | HF 전세자금대출 이용자만 가입 가능 | 보증료 저렴, 대출 연계 필수 |
SGI (서울보증보험) | 가능 | 보증금 전액 가능, 아파트는 한도 없음, 기타주택은 최대 10억 | 유연한 조건, 보증료 가장 높음 |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점
HUG (임대인 가입 시)
2025년 1월 1일 이전 등록 매물이라도 → 선순위 채권 + 보증금 ≤ 기준시가의 120% 조건 충족해야 함
감정평가액 100% 기준은 보증금이 시세보다 높은 경우에 활용
보증료율: 연 0.097%~0.211% (주택 유형·전세가율에 따라 다름)
SGI (서울보증)
임대인 가입 가능 + 보증금 전액 보장 가능
보증료율: 아파트 약 0.229%, 기타주택 약 0.260% 수준
신용도·주택 상태에 따라 추가 가산율 적용 가능
HF (한국주택금융공사)
임대인은 가입 불가, 오직 HF 대출을 받은 임차인만 가능
보증료율 최저: 연 0.02%~0.04% 수준
가입 조건 까다로움: 대출 연계 + 계약기간 1/2 경과 전 신청 필수
전세보증금 알아두면 좋은 꿀팁과 유의사항
전세보증금 반환 불안으로 고민이신가요? 2025년, 임대차계약에서 전세보증금반환보증과 임대보증금보증은 임차인과 임대인을 위한 필수 안전장치입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제공하는 정부 보증보험은 전세 사기를 예방하고 보증금을 보호하는 강력한 솔루션입니다. 이 글에서는 임대차계약 보증보험의 혜택, 가입 요건, 지원 제도를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고 싶다면, 지금 바로 이 가이드를 확인하세요! 1. 임대차계약 보증보험이란?임대차계약 보증보험은 임대차계약 종료 후 임대인이...
dasumhelp.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