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 처음 집 고를 때 바로 이 타이밍에서 많이 흔들려요.
이미 얘기해둔 원룸 vs 갑자기 나온 넓은 빌라.
마음은 넓고 쾌적한 집으로 쏠리고, 머리는 월세와 공과금을 따지죠.
딱 그 갈림길에 계신 상황이라 공감돼요.
그래서 혼자 살기 기준으로 실사용 비용과 생활 편의, 인간관계 변수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하면 혼자 자취에 절약이 중요하고
이미 1번에 말까지 해둔 상황이라면 1번 원룸을 추천합니다.
전기세는 빌라라서 비싼 게 아니라 면적과 사용량 영향이 커요.
혼자 사시면 27평은 냉난방과 조명 면적이 커져 비용과 관리 부담이 확 늘어납니다.
반대로 재택근무가 많아 작업실이 필요하거나 가족 방문 잦고
수납과 취미 공간을 확실히 쓰실 계획이면 2번이 가성비가 나올 수 있어요.
비용 현실 점검 요약
월세 차이 10만
전기와 가스 등 공과금 추정 평균치 기준
7평 원룸 전기 3만에서 6만, 가스 계절평균 3만에서 8만
27평 빌라 전기 5만에서 10만, 가스 계절평균 7만에서 20만
물과 기타 5천에서 1만5천 vs 1만에서 2만
같은 인터넷 비용 2만5천 내외는 양쪽 동일
즉 면적이 큰 집은 공과금이 월 6만에서 15만 정도 더 나올 가능성이 높고
여기에 월세 10만 차이까지 합치면 총 월 16만에서 25만 추가.
1년이면 192만에서 300만 차이. 큰 집은 추가 가구나 커튼 등
초기비용도 50만에서 200만가량 더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전기세 관점 팩트 체크
빌라라서 비싼 게 아닙니다.
가구별 계량기 기준 누진제라 결국 면적이 크면 냉난방과 조명 사용량이 늘어 나오는 것.
전기료는 건물 유형보다 단열, 창호, 에어컨 용량과 효율 등급, 사용습관이 좌우합니다.
난방이 가스보일러면 전기세보다 가스비가 변수입니다.
외벽 면적이 넓고 창호가 오래됐으면 겨울 가스비가 확 튈 수 있어요.
생활 편의 비교 핵심
1번 원룸 7평 2층
혼자 살기 최적화. 청소와 관리가 쉽고 공과금 예측 가능.
2층이면 벌레와 습기 리스크가 1층보다 적고 엘리베이터 없더라도 크게 부담 안 됨.
단점은 수납과 취미 공간 제약, 손님 초대 어려움.
2번 빌라 27평 방 3개 층수 미정
재택과 취미 작업실 분리, 소음 분산, 손님 숙박 가능.
하지만 층수가 높고 엘리베이터 없으면 이사와 생활이 불편할 수 있음.
겨울 난방비, 여름 냉방비, 청소 시간, 가구 추가비 부담이 생김.
이렇게 고르면 후회 적습니다
다음 항목에 많이 체크되면 1번
월 지출을 낮추는 게 최우선이다
퇴근 후 집에 있는 시간이 길지 않다
청소와 정리 스트레스가 싫다
이미 1번 집주인 지인께 말로 약속을 해두었다
다음 항목에 많이 체크되면 2번
재택근무가 주 3회 이상이다
방음과 공간 분리가 꼭 필요하다 취미 장비 수납 등
가끔 가족이나 친구가 와서 자고 간다
월 20만원 이상 추가 고정비가 부담되지 않는다 2년 이상 장기 거주 계획
지인 관계 깔끔하게 정리하는 말문 예시
1번으로 확정할 때 2번 지인에게
이번에는 예산과 생활패턴 때문에 작은 집으로 결정했어요.
좋은 제안 감사드리고 다음에 이사 계획 생기면 제일 먼저 연락드릴게요.
2번으로 바꿀 때 1번 지인에게
먼저 말씀드려놓고 변경 드려 죄송해요. 재택과 작업 공간이 꼭 필요해
부득이하게 더 큰 집으로 결정하게 됐어요. 혹시 민폐가 되지 않도록
대체 세입자 찾기나 비용 부분에서 도움이 필요하면 바로 돕겠습니다.
현장 확인 시 꼭 볼 포인트
단열 창 상태와 틈 풍 들어오는지 손으로 느껴보기
보일러 연식과 난방 테스트 10분 가동 후 온수와 라디에이터 반응
에어컨 냉방 온도 하강 속도와 물 배수
수도 수압과 배수 속도 욕실 냄새 역류
휴대폰 통신 품질과 콘센트 개수
층수와 계단 상태 엘리베이터 여부 이사 동선
채광 방향 오후 3시 이후 빛 들어오는지 곰팡이 흔적
한 줄 추천
혼자 자취에 비용과 관리 효율을 중시하고 이미 말로 약속하신 상황이면 1번 원룸이 안정적 선택입니다.
전기세는 건물 유형보다 사용과 단열이 좌우하니, 1번 집 컨디션만 괜찮다면 가장 가성비가 좋아요.
자취방 정하는 기준에 대해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