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간호조무사 실습할때 피 보나요? ㅜㅜ 안녕하세요. 취업이 너무 안되서 간호조무사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실습할때 순환으로 한다고

안녕하세요. 취업이 너무 안되서 간호조무사 생각중입니다. 그런데 실습할때 순환으로 한다고 하던데 제가 피 보는거를 무서워해서요ㅠㅠ 내시경실 수술실 다 간다고 하던데, 혹시 피를 제가 직접적으로 만져야하는 경우도 있나요? 주사를 꽃는다던가 ...제가 B형간염인가 항체가 없어서 걱정됩니다.

1. 간호조무사 실습 구조

  • 병원 실습은 보통 외래, 병동, 특수부서(수술실·내시경실 등) 를 돌아가며 경험합니다.

  • 하지만 학생 신분일 때는 의료행위를 직접 시술(예: 주사 놓기, 정맥 채혈) 하도록 두지 않습니다.

  • 주사·정맥로 확보 같은 건 법적으로 간호사 이상만 가능하고, 학생이나 간호조무사는 못합니다.

  • 실습생에게는 관찰·보조 중심의 업무가 주어집니다. (환자 이동, 활력징후 측정, 기본 간호 도와드리기, 소독물품 전달 등)

2. 피를 직접적으로 만질 일이 있을까?

  • 직접 피를 만지는 상황은 거의 없습니다.

  • 수술실/내시경실 실습 시 피를 “보는” 경우는 많지만, 피를 만지거나 조작하는 건 간호사·의사 업무입니다.

  • 다만 배설물 정리, 드레싱 교환 보조 같은 과정에서 소량의 혈액이 묻은 거즈를 접할 수는 있어요. 이때도 장갑을 꼭 착용합니다.

3. 감염 관련(특히 B형간염)

  • 의료 실습 전에는 보통 B형간염 항체 검사를 하고, 항체가 없으면 예방접종(3회) 을 맞도록 권유합니다.

  • 의료기관도 실습생 안전을 위해 예방접종 완료를 확인하는 경우가 많아요.

  • B형간염 항체가 없는 상태로는 의료실습 들어가기 위험합니다. 꼭 항체 검사를 다시 하고, 항체 없으면 접종부터 하시는 게 좋아요.

정리

  • 주사 놓기, 피 뽑기 → 간호조무사/실습생은 못합니다.

  • 피를 “직접 만질” 상황은 거의 없고, 보조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접촉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 반드시 장갑 착용.

  • B형간염 항체가 없다면 반드시 예방접종을 먼저 하고 실습에 들어가는 게 안전합니다.

결론:

실습한다고 해서 “피를 손으로 만져야 하는” 상황은 거의 없으니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돼요. 대신 항체 확보(예방접종) 는 꼭 챙기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