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부 범위: 단어, 문법, 독해, 청해
JLPT N3 기준 핵심 영역
영역 | 목표 | 공부 방법 |
단어 | 약 3,000~4,000 단어 | 주야장천 외우기보다는 빈도순 단어장 활용. 예: ‘新完全マスター語彙’ N3 단어 |
문법 | 약 300~350 문법 | ‘~そうだ’, ‘~ようにする’ 같은 N3 핵심 패턴. 문장 예문과 함께 외우기 |
한자 | 약 650자 | 쓰기보다는 읽기 중심. 예: ‘漢字マスターN3’ |
독해 | 짧은 글 이해 | 문장 단위로 읽고, 모르는 단어·문법 표시 |
청해 | 일상 회화 이해 | JLPT N3 기출 문제, NHK 뉴스 쉬운 기사 청취 |
2. 단어/문법 암기 방법
카드 방식 활용
앱: Anki, Quizlet
카드 앞: 단어/문법, 카드 뒤: 뜻 + 예문
짧게, 자주 반복
하루 3050개 단어씩, 하루 34회 반복
외운 것 바로 복습하지 말고, 하루 뒤/3일 뒤 확인
예문과 함께 외우기
단어만 외우면 쓰기 힘듦 → “例文で覚える”
이미지/연상 활용
단어를 그림이나 상황과 연결하면 기억이 오래감
3. 한 달 공부 스케줄 예시 (노베 기준)
주차 | 목표 | 방법 |
1주차 | 히라가나/가타카나 완전 복습, 기초 단어 300개 | 발음 따라 읽기, 앱으로 카드 학습 |
2주차 | N3 단어 1,000개 + 문법 100개 | 하루 단어 50개, 문법 10개 + 예문 |
3주차 | 단어 2,000개 + 문법 200개 + 간단 독해 | 짧은 기사/글 읽기, 청해 시작 |
4주차 | 기출문제 풀기 + 부족한 단어/문법 보충 | 시험 형태로 시간 맞춰 풀기, 오답 노트 작성 |
4. 암기력이 부족할 때 팁
짧게, 반복적, 자극 다양하게 → 하루 5~10분씩 자주 보기
듣기와 읽기 병행 → 단어를 귀와 눈으로 동시에 입력
시험용 암기보다 활용 중심 암기 → 문장 속에서 쓰는 단어/문법 중심
쉬운 것부터 → 작은 성취감을 느껴야 포기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