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야구 예능 프로그램에서 이대호 왈
140정도 되는 구속은 칠만합니다.
150정도 되는 구속은 좀 어려워요
160정도 되는 구속은 못친다 라고 말했었어요.. 그만큼 구속이 중요하긴 하지만 ... 구속은 극복이 됩니다.
이정도로 160은 엄청 빠른공입니다. 150도 빠른공이죠.. 하지만 한국에서나 150 빠른공이지 MLB에 가면 160던지는 애들 엄청 많아요. 하물며 아놀디스채프먼은 170넘게 던집니다. 일본은 구속은 좀 적게 나와도 변화구나 변속구에 특화된 공을 잘 다룹니다.
그리고 파이어볼러의 직구는 아무리 공이 빨라도 몇번 눈에 익으면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간간히 슬라이더나 포크볼, 커브같은 공의 궤적이 크게 변화는 변화구로 헛점을 찌르거나, 체인지업이나 서클체인지업같은 직구속력으로 오다가 급하게 속력이 떨어지는 변속구를 섞어던저서 타자의 타격타이밍을 빼앗죠... 그래야 아무리 강속구라도 눈에 익기 전에 헛점을 찌를수 있거든요. 그래서 마냥 170넘게 던진다 한들 좋은 투수는 아닙니다.
그래서 일본, 미국 같은경우는 그런 변화구나 변속구에 특화된 선수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투수들이 고평가 받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