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하기1 공인회계사VS LLM학위 인 메릴렌드 미국변호사VS한국로스쿨 졸업후 한국변호사 이 셋중 어느게

공인회계사VS LLM학위 인 메릴렌드 미국변호사VS한국로스쿨 졸업후 한국변호사 이 셋중 어느게 월급 이나 파워가 제일 쎄고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취업이 제일 잘되는지 알려주세요 .. 친절한 답변 부탁드려요.그리고 메릴렌드 미국변호사가 한국에서 허가받아서개업사무실 차릴수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고맙겠씁니다..사람과 그룹

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직업의 '힘'을 판단하는 기준은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연봉, 사회적 위상, 취업 용이성 측면에서 각각의 특징을 비교해 드릴 수 있습니다.

1. 공인회계사 vs 한국 변호사 vs 미국 변호사

구분

공인회계사 (CPA)

한국 변호사 (K-JD)

미국 변호사 (LLM)

연봉 및 파워

대형 회계법인에 취업 시 높은 연봉과 빠른 성장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히 파트너로 승진하거나 M&A, 세무 전문가로 활동할 경우 상당한 경제적 보상을 얻습니다. 기업 경영에 필수적인 재무, 회계, 세무 분야의 전문가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대형 로펌에 취업할 경우, 초기 연봉이 세 직업 중 가장 높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형 로펌이나 개인 사무소를 개업할 경우 소득 편차가 매우 큽니다. 법률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서 사회적으로 높은 명성과 파워를 갖습니다.

국내 취업 시 국내 대형 로펌의 국제 업무팀이나 대기업 법무팀에 취업합니다. 연봉은 소속된 조직의 규모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한국법 자문이 불가능하고, 미국법 관련 업무로 한정되어 있어 파워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사회적 인정

기업 경영의 필수적인 파트너로서 전문성을 인정받습니다. 높은 연봉과 안정적인 직업으로 존경받으며, 경제계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전통적으로 최고의 전문직으로 존경받으며, 공공기관이나 정치계 진출도 활발합니다. 사법고시가 사라진 후에도 로스쿨을 통해 배출되는 법률전문가로서 사회적 위상이 높습니다.

LLM 학위만으로는 JD(Juris Doctor) 학위에 비해 전문성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인정받는 미국 변호사는 주로 미국 로스쿨 JD 학위를 소지하고 미국 대형 로펌에서 경력을 쌓은 후 귀국한 경우가 많습니다.

취업 용이성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습니다. 특히 4대 회계법인의 경우 매년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며, 회계법인 외에도 금융권, 일반 기업체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로스쿨 및 변호사시험 합격률이 낮아지는 추세이며, 대형 로펌 등 선호 직장 취업은 치열합니다. 하지만 변호사 자격증만으로도 법률사무소, 공기업, 기업체 등 취업의 폭이 넓어 취업률 자체는 높은 편입니다.

한국에서 LLM 학위만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주로 LLM 학위는 이미 한국 변호사 자격을 가진 상태에서 추가적인 전문성을 쌓기 위해 취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변호사 LLM 학위 소지자가 국내 대형 로펌에 취업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2. 메릴랜드 변호사의 한국 개업 가능 여부

메릴랜드 주 변호사 자격만으로는 한국에서 개업사무실을 차릴 수 없습니다.

한국에서 법률 사무소를 개업하려면 변호사법에 따라 한국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외국 변호사는 한국에서 한국법에 대한 법률 자문을 할 수 없으며, '외국법자문사' 자격만 취득할 수 있습니다.

외국법자문사 제도:

  • 자격 취득 조건: 외국 변호사 자격(메릴랜드 주 변호사 자격)을 가지고, 해당 자격 취득 후 2년 이상 실무 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 6개월 이상 연수를 받아야 합니다.

  • 업무 범위: 외국법자문사는 한국에 사무소를 개설하여 외국법에 대한 자문만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한국법에 대한 법률 자문이나 소송 대리 등은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메릴랜드 변호사 자격만으로는 한국에서 '변호사'로서 독립적인 법률 사무소를 개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외국법자문사'로 활동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