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이거 민원 넣을 수 있나요? 어느 경상도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최근 수학여행지를 고르는 과정과 그

어느 경상도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입니다.최근 수학여행지를 고르는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서 수 많은 불리한 상황이 있는것 같아 질문해봅니다.수학여행지로 중국과 베트남 중 선택하라고 학년기획부장 선생님이 가정통신문을 주셨습니다.근데 그 선생님은 중국을 가라며 중국에 대한 좋은 말들을 하고 유튜브에서 중국 여행 브이로그를 보여주시기 까지도 하였습니다.그와 반대로 베트남은 신혼 여행지고 애들이나 가는거라며 베트남을 고르는 학생을 찍어두겠다고 협박투로 말씀하셨습니다.대부분의 학생들이 다낭을 고르는 분위기였지만 그 선생님의 반 학생들은 잔소리와 개인 면담등으로 모두 중국으로 선택지를 바꾸고 베트남을 고른 학생이 많은 반을 다시 고르도록 했습니다.그래도 분위기는 베트남이 우세해 보였습니다.수학여행지가 결정되는 날, 그 선생님은 어느 반에 찾아가 죽어도 중국에 가기 싫은 학생은 손을 들라고 하였습니다.손을 드는 학생은 없었고 그 선생님은 수학여행지를 중국으로 결정했습니다.학년기획부장 선생님은 1학년 다수의 의견을 무시하고 수학여행을 중국으로 보내려고 합니다.저는 선택의 자유를 침해받은 기분을 느꼈고 이 결정이 과연 투표로 나온 결과인지 의문이 듭니다.제가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것도 민원을 넣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담임 선생님이나 학생부장 선생님께 학년기획부장 선생님의 언행과 투표 과정의 문제점을 말씀드려보세요.

정식 민원 제기 전, 학교 내에서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 내부에서 해결이 어렵거나 상황이 변하지 않는다면, 관할 교육청에 민원을 제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익명으로 진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니, 여러 학생들과 함께 논의하여 공동으로 목소리를 내는 방법을 고민해 볼 수도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하게 사실을 바탕으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어떤 일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어떤 점이 불합리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훨씬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