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질문이에요 정리해드릴게요.
운전면허 취득 절차는 기본적으로 말씀하신 대로
① 학과시험(필기) → ② 기능시험 → ③ 도로주행시험 → ④ 면허증 발급 순서입니다.
✅ 핵심 포인트
연습운전면허 발급 시점
기능시험에 합격하면 연습운전면허증이 발급됩니다.
이 연습면허는 도로주행시험 응시 자격이자, 실제 도로에서 연습할 수 있는 권한이에요.
10시간 이상 운전연수 규정
이건 자동차학원 등록 시 의무 교육(도로주행 교육 10시간)을 말하는 겁니다.
학원 수강생이라면 학원에서 도로주행 수업을 10시간 이상 받아야 시험 접수가 가능해요.
독학(개별 응시) 할 경우
학원 등록을 안 하면 의무 연수 10시간을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기능시험에 합격하고 연습운전면허만 있으면 바로 도로주행시험 접수·응시가 가능합니다.
다만, 연습운전면허로 실제 도로 연습을 하려면 법적으로 운전경력 2년 이상인 동승자가 필수입니다.
즉, ‘연습용 운전’을 하려면 동승자가 필요하지만, 시험 응시 자체는 별도의 연수시간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 정리
학원 등록 → 10시간 도로주행 교육 필수
독학 응시 → 기능시험 합격 후 곧바로 도로주행시험 접수 가능 (연수 의무 없음)
단, 도로주행 시험 준비를 위해 실제 도로 연습을 하려면 동승자 조건(운전경력 2년 이상)이 필요합니다.
답변채택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