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상황을 종합해보면, 100% 상대 과실 차대차 사고이고, 대인·대물 모두 접수하셨군요. 현재 증상은 목·허리·승모근 근육 뻐근함과 경미한 두통 정도이며, 뼈 손상은 없다고 하셨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궁금하신 두 가지를 정리해드릴게요.
1️⃣ 대인담당자 연락과 병원 진료
사고 후 상대보험에서 발급한 대인접수번호가 있으면, 그 번호만으로도 병원 진료 및 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
요즘 일부 대인담당자가 바로 연락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번호만 있으면 병원에서 접수 가능하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즉, 상대 보험사 직원과 통화 전이라도 병원에 접수 가능합니다. 다만, 병원에서 보험사로 청구 시 접수번호를 요구할 수 있으니 꼭 지참하세요.
2️⃣ 입원 후 통원치료 가능 여부
사고 후 외국 일정 때문에 입원이 3~4일밖에 안되더라도, 이후 통원치료로 연속 치료 가능합니다.
보통 입원+통원 연계 치료가 가능하며, 상대보험사도 100% 과실이 인정되면 통원치료까지 보장합니다.
단, 해외 체류 기간 동안은 진료 기록이 공백이 되지 않도록, 출국 전 병원에서 향후 통원치료 계획서를 발급받아 두면 좋습니다.
돌아와서 통원치료 시작 시 보험사에 통원치료 시작일과 병원명을 알리면 문제없이 진행 가능합니다.
추가 팁
사고 후 증상 기록을 꼼꼼히 남기기 (두통, 허리, 목, 승모근 통증 등) → 추후 후유장해나 장기 치료 필요 시 유리
통원치료 가능 병원 미리 예약 후, 보험사에 병원명과 기간 공유
약 처방 기록, 물리치료 내역, 추나·침 치료 기록도 보험 청구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