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고등학교 생기부 고2 학생인데 학교에서 한 멘토링 활동 후 후속 탐구를 진행하고

고2 학생인데 학교에서 한 멘토링 활동 후 후속 탐구를 진행하고 싶은데 탐구 보고서 그냥 담임쌤께 제출해도 되나요? 그리고 독서 활동도 그냥 독서 후 감상문 쓰고 담임쌤께 제출하면 되나요?

후속 탐구나 독서 감상문을 생기부(학교생활기록부)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무작정 담임선생님께 제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어요. 아래 기준에 따라 정리해볼게요:

1. 탐구 보고서 제출 관련

그냥 담임쌤께 제출해도 반영 가능할 수는 있지만,

담임 선생님이 생기부에 기록할 수 있는 근거가 있어야 해요.

가장 좋은 방법은:

멘토링 활동 후 탐구보고서를 담당 선생님(멘토 선생님이나 과목 선생님) 또는 창체부/세특 관련 선생님께 먼저 보여드리고

→ “이 내용을 후속 탐구로 생기부 반영해주실 수 있나요?” 하고 문의드리는 것!

단순히 담임쌤께 내는 것보다, 해당 과목 선생님과의 연결성이 있거나 활동과 관련된 선생님께 먼저 보여드리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2. 독서 후 감상문 제출 관련

독서 활동도 생기부에 반영되려면 단순히 “책 읽었어요!” 보다는 감상문 + 탐구심이 보이게 작성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담임 선생님께 감상문을 제출할 때,

“이 책을 읽고 이렇게 느꼈고, 진로나 과목과 관련해서 이런 생각도 해봤어요”

→ 이런 식의 ‘동기 + 연관성’까지 간단히 전달해주면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요약>

그냥 제출 = 반영 안 될 수도 있음

제출 전,

해당 과목 선생님 or 창체 담당 선생님께 먼저 상의

보고서나 감상문에 ‘과목 연계’나 ‘진로 관련성’이 드러나도록 작성하면 더 좋아요!

Tip: 탐구나 독서 모두 학교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선 공식적인 활동처럼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선생님들이 기록하실 때 도움이 되게 해드리는 것이 핵심이에요!

image
생기부 세특에 강하게 남는 수행평가 기록법 (챗GPT 활용 예시 포함)

생기부 세특에 강하게 남는 수행평가 기록법(챗GPT 활용 예시 포함) 수행평가를 그냥 '끝내는 것'이 아니라,'기록으로 남기는 것'까지 준비해야 합니다! 수행평가만 하면 끝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들 많죠?"시험 끝났으니까 이제 편하네~" 싶지만,진짜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에요!수행평가 과정을 어떻게 기록해서 생기부 세특에 남기느냐이게 진짜 승부처입니다.특히 요즘 생기부는 단순 결과보다스스로 학습한 과정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성자기 주도성이런 걸 얼마나 잘 드러내느냐가 훨씬 더 중요해졌거든요.오늘은 챗GPT를 활용해서수행평가 과정을 ...

toyjjang99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