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신한은행 퇴직연금 펀드 VS ETF 차이? 신한은행 퇴직연금 운용하려고 하는데요미국 S&P500 종목을 투자하려고 보니까 여러가지가 있어서

신한은행 퇴직연금 운용하려고 하는데요미국 S&P500 종목을 투자하려고 보니까 여러가지가 있어서 질문합니다.신한미국S&P500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U H)[주식-파생형]종류C-RE(퇴직연금)ACE 미국S&P500 ETF둘중 어느것을. 해야할까요?하나는 펀드, 하나는 ETF같은데요.펀드 수수료가 훨씬 비싼데펀드s&p500하는사람들은 왜 etf가 아닌 펀드를 하는건가요?펀드 수수료 (총보수)총보수(합성총보수)연 0.2950%(연 0.3336%etf수수료(총보수)ETF 총보수0.0068%

안녕하세요~

신한은행 퇴직연금 계좌에서 S&P500에 투자하시려는 질문자님.

펀드와 ETF 중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한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저도 퇴직연금 상품 선택 도와드리면서 자주 듣는 질문이라

차이점과 선택 기준을 분명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먼저, 두 상품을 간단히 비교해볼게요

항목

신한 S&P500 인덱스 펀드

ACE 미국 S&P500 ETF

종류

공모형 인덱스 펀드

국내 상장 ETF

운용 방식

펀드 매니저 운용 (파생 포함)

지수 추종 ETF (실물 보유형)

수수료 (총보수)

0.3336%/년

0.0068%/년

매수 방법

퇴직연금 플랫폼에서 정기적 적립

ETF도 일부 가능 (증권형 DC/IRP에 한함)

환헤지 여부

환헤지형 (U H)

환오픈 (환위험 있음)

장점

정기적 자동매입, 환위험 방지

수수료 낮고 지수 추종 효율적

단점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

환율 영향 받음, 일부 연금계좌선 제한

✅ 왜 펀드를 하는 사람들이 많을까요?

질문처럼 ETF 수수료가 훨씬 저렴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펀드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1. 운용 방식이 자동화돼 있음 (자동적립/리밸런싱)

  • 펀드는 퇴직연금 내에서 정기적 자동 적립/매입이 가능해요.

  • ETF는 수동 매매가 필요해서 비교적 투자 접근이 어려울 수 있음.

2. 환헤지 옵션이 있음

  • 펀드는 **환헤지(U H)**가 붙은 상품 선택 가능

  • → 환율 변동 리스크 줄이고 순수하게 지수 수익률만 추종 가능

  • ETF는 대부분 환오픈(달러 자산 노출)이라 환차손 우려 존재

3. 퇴직연금 계좌의 시스템적 한계

  • 일부 DC/IRP 계좌는 ETF 직접 매수 기능이 제한되기도 함

  • 반면 펀드는 모든 퇴직연금 계좌에서 쉽게 접근 가능

✅ 어떤 걸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질문자님의 투자 목적과 운용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ETF 추천

  • 수수료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 환율 변동도 수용 가능하며

  • ETF 직접 매수 가능한 퇴직연금 계좌를 운영 중인 경우

→ ACE 미국 S&P500 ETF

펀드 추천

  • 환위험이 싫고,

  • 자동으로 정기적 매수되길 원하고

  • ETF 직접 매매가 불편하거나 불가능한 계좌인 경우

→ 신한 S&P500 인덱스 펀드(U H)

✅ 참고 팁

  • ETF를 직접 매수하려면, IRP나 DC형 퇴직연금이 증권사 전용 플랫폼으로 연계되어 있어야 합니다.

  • (예: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등으로 이체 후 ETF 매수)

  • 반대로 은행권 IRP/퇴직연금은 대부분 ETF 직접 매수 미지원인 경우가 많습니다.

  • (이 경우 펀드 중심으로 구성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