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국내 상장 해외 s&p500 주식 초보인데 한 달에 3, 40만원씩 s&p500에 10년 정도 장기로

국내 상장 해외 s&p500 주식 초보인데 한 달에 3, 40만원씩 s&p500에 10년 정도 장기로

주식 초보인데 한 달에 3, 40만원씩 s&p500에 10년 정도 장기로 자동 매수 통해서 투자할 생각입니다. 국내 상장 해외 s&p500 중 어떤 회사 종목이 좋을지, 그 중 어떤 투자 방식이 좋을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투자 방식이 여러개인 것 같은데 뜻이 잘 이해가 안가 어렵네요.

i

안녕하세요~ S&P500 장기 투자로 고민 중이신 질문자님.

저도 처음에 ETF 투자 방식이 헷갈렸던 경험이 있어서 그 마음 정말 잘 이해합니다. S&P500은 장기 복리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가 시작하기 좋은 상품입니다. 국내 상장 S&P500 ETF 종류투자 방식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1. 국내 상장 S&P500 ETF의 종류

S&P500 ETF는 국내 증권사에서 원화로 거래할 수 있는 국내 상장 ETF와 직접 달러로 거래하는 해외 상장 ETF로 나뉩니다.

① 국내 상장 S&P500 ETF

국내 증권사에서 원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환전이 필요 없습니다.

  • 환전 수수료 없음 → 거래 편리함

  • 양도소득세 없음 →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 없음 (배당소득세는 발생)

추천 국내 상장 S&P500 ETF

  • TIGER S&P500 (360750) – 삼성자산운용

  • KODEX S&P500 (3798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 S&P500 (394670) – KB자산운용

➡️ 초보자라면 TIGER S&P500이나 KODEX S&P500이 거래량이 많아서 안정적입니다.

② 해외 상장 S&P500 ETF

해외 증권사(미국)에서 달러로 거래됩니다.

  • 환전 필요 → 환전 수수료 발생

  • 매매 차익에 대해 22% 양도소득세 발생

  • 대표적인 미국 상장 S&P500 ETF:

  • SPY – 미국 대표 S&P500 ETF

  • VOO – 뱅가드의 S&P500 ETF (수수료 저렴)

  • IVV – 블랙록의 S&P500 ETF

➡️ 해외 상장 ETF는 수수료와 세금이 있기 때문에 장기투자 시 부담될 수 있습니다.

2. 추천 전략 – 국내 상장 ETF 추천 이유

초보자라면 국내 상장 S&P500 ETF가 훨씬 편리합니다.

  • 환전 필요 없음

  •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 없음 (배당소득세 15.4%는 발생)

  • 거래량이 많고 장기 보유 시 비용이 낮음

➡️ 따라서 TIGER S&P500이나 KODEX S&P500 같은 국내 상장 ETF가 초보자에게 유리합니다.

3. 투자 방식 이해하기

S&P500 ETF 투자 방식은 크게 다음 3가지입니다.

① 적립식 투자 (추천)

  • 매월 일정 금액을 자동으로 매수 →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효과

  • 시장이 하락해도 일정 금액을 계속 투자하기 때문에 장기 복리 효과 극대화

➡️ 매달 30~40만 원씩 자동 매수 설정 → 시장 변동성에 관계없이 꾸준히 투자

② 일시 투자

  • 목돈이 있을 경우 한 번에 투자 → 단기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음

  • 시장이 상승할 경우 큰 수익 가능하지만, 하락 시 리스크 커짐

➡️ 초보자에게는 일시 투자보다 적립식 투자가 더 안정적입니다.

③ 분할 매수

  • 일정 기간에 나눠서 매수 → 하락장에서도 리스크 완화

  • 일시 투자와 적립식의 중간 형태

➡️ 초보자에게는 적립식 투자가 더 간단하고 편리합니다.

4. 복리 효과 예시

예시: 매달 40만 원씩 적립식 투자 → 연평균 수익률 7% 가정

투자 기간

총 투자 금액

예상 수익 (복리 효과)

총 자산

5년

2,400만 원

약 550만 원

약 2,950만 원

10년

4,800만 원

약 1,900만 원

약 6,700만 원

15년

7,200만 원

약 4,800만 원

약 12,000만 원

➡️ 장기 복리 효과로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5. 추천 전략 요약

TIGER S&P500 또는 KODEX S&P500 선택

✅ 매달 30~40만 원씩 자동 매수 설정 → 적립식 투자

✅ 10년 이상 장기 보유 → 복리 효과 극대화

✅ 배당금은 자동 재투자 설정 → 복리 효과 강화

6. 결론

  • 국내 상장 ETF(TIGER S&P500, KODEX S&P500)가 초보자에게 유리합니다.

  • 적립식 투자가 변동성을 줄이고 복리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 배당금 재투자 + 장기 보유 전략이 복리 효과를 가장 크게 만듭니다.

질문자님께서 꾸준히 투자하셔서 자산을 크게 키우시길 바랍니다.

https://busandandi.tistory.com/440